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지면서 주변에선 감기로 고생 중이다. 성인이야 손쉽게 종합감기약으로 대처할 수 있지만 성인보다 체형이 작은 어린이에게 감기약을 아무렇게나 먹이기에는 조심스럽다. 그래서 어린이 감기약 형태별 투여 방법과 복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자.
어린이 감기약 투여방법
형태 | 설명 | 투여 방법 |
시럽제 | 유, 소아에게 가장 간편하게 먹일 수 있는 형태 | 계량컵, 계량스푼, 경구용주사기를 이용하여 용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투여 |
산제 | 가루로 이루어진 형태 | 소량의 물로 입을 적신 후 가루약을 입 안에 넣고 물은 1컵 정도 마시게 한다. |
정제 | 알약 및 캡슐로 이루어진 형태 | 알약을 1알씩 혀 안쪽 깊숙이 넣어주고 물을 1컵 마시게 하고 먹인 후 입안에 약이 남아 있는지 꼭 확인 해야 한다. 7세 이하 어린이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음 |
좌제 | 항문으로 삽입하면 체온으로 녹아 직장점막에 흡수됨 | 장갑을 끼고 좌제의 둥근 끝을 항문에 손가락 길이(3세 이하는 새깨손가락, 3세 이상은 검지손가락) 정도로 깊숙이 집어넣고 밖으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잠시 항문을 눌러준다. |
어린이 감기약 복용 시 주의사항
- 어린이는 성인과 체형이 다르므로 일반의약품인 감기약을 구입하더라도 아이의 상태에 대해 의사, 약사와 충분한 상의 후 복용하는 게 좋다
- 의약품 상세정보를 통해 어린이의 나이, 체중 등에 맞는 정확한 용량과 용법을 확인 후 복용해야 하며 용량을 짐작으로 유추하여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.
- 두 가지 이상의 감기약을 복용한다면, 반드시 같은 성분이 중복되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.
- 2세 미만의 영, 유아는, 감기에 걸리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고 일반의약품 감기약은 복용시키지 말아야 한다.
- 예전에 받아 둔 감기약이 남아있더라도 예전 약을 임의로 먹지 않도록 합니다.
- 약을 투여한 시간과 용량을 꼭 기록해 두어야 한다.
- 약을 먹는 동안 부작용이 나타나는지 잘 확인하고 이상 증상이 생기면 즉시 의사와 상의하여야 한다.
- 성분 중 아세트아미노펜은 어린이가 먹어도 되지만 일정량 이상 복용 시 간 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.
- 아스피린은 어린이가 먹을 경우 ‘레이증후군’이라는 심각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.
※ 레이증후군 : 아스피린을 먹은 어린이가 뇌와 간의 손상으로 뇌 기능이 저하되는 증세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엠폭스(원숭이두창) 증상 및 치료법 (0) | 2023.04.15 |
---|---|
전기차 10만km 운행 후기(2023년 현재) (0) | 2023.04.14 |
전기트럭, 포터EV 티포케이(T4K) 비교하기 (0) | 2023.04.09 |
천혜향 효능 (0) | 2023.04.07 |
제주도, 한라산청정 고사리 축제 (0) | 2023.04.07 |
댓글